맨위로가기

오쿠보 다다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쿠보 다다노리는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조카이자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사촌으로, 사누키국 다카마쓰 번의 다이묘 마쓰다이라 요리히로의 아들로 태어났다. 1859년 오쿠보 가문에 입양되어 오다와라 번의 다이묘가 되었으며, 도쿠가와 막부에서 소샤반, 교토 방문 동행, 고후 조다이 등을 역임했다. 보신 전쟁 당시에는 친정부군과 막부 사이에서 입장을 바꾸며 혼란을 겪었고, 결국 공직에서 은퇴하고 작위를 빼앗겼다. 이후 오쿠보 가문의 지도자로 복귀하여 자작이 되었으며, 189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다카마쓰번 사람 - 마쓰다이라 요리토시 (1834년)
    마쓰다이라 요리토시는 1834년에 태어나 다카마쓰 번의 13대 번주를 지냈으며, 막부 말기에 교토와 셋쓰 방면 경비를 담당하고 도바·후시미 전투에 참여했으나, 메이지 시대에 백작이 되어 1903년에 사망했다.
  • 오다와라번주 - 이나바 마사카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 츠보네의 장남인 이나바 마사카쓰는 이에미쓰의 측근으로 다이묘가 되었으나 병으로 사망했다.
  • 오다와라번주 - 아베 마사쓰구
    아베 마사쓰구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세키가하라 전투와 오사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영지를 늘렸고, 오사카 성대에 임명되어 22년간 재임했으며, 시마바라의 난 당시에는 에도와 규슈 간의 연락 및 조정을 담당했다.
오쿠보 다다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쿠보 다다노리
오쿠보 다다노리
이름오쿠보 다다노리
다른 이름가가노카미
출생일1842년 1월 13일
출생지에도, 일본
사망일1897년 8월 10일
국적일본
직업오다와라 번의 다이묘 (1859–1868)
관직
관위종5위하 (박탈)
가가노카미 (박탈)
종4위하 (박탈)
자작
막부에도 막부 소자반
주군도쿠가와 이에모치
요시노부
메이지 천황
가문
씨족다카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오쿠보 씨
부모아버지: 마쓰다이라 요리히로
어머니: 미상
양아버지: 오쿠보 다다카
형제자매마쓰다이라 요리히로
마쓰다이라 다케아키
마쓰다이라 가쓰나리
마쓰다이라 요리토모
오쿠보 다다노리
미쓰야스히메
세이히메
이쿠히메
양형제: 마쓰다이라 요리타네
배우자정실: 오쿠보 노리요시의 딸
계실: 이시카와 후사카즈의 딸
계계실: 아베 마사토모의 딸
자녀다다카즈
양자다다요시
기타
묘소도쿄도세타가야구다이시도의 교가쿠인
시호고요인
어린 시절 이름하야토노스케
개명다다노리

2. 생애

오쿠보 다다노리는 막부 말기와 메이지 유신 초기에 걸쳐 여러 정치적 입장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도쿠가와 막부를 섬기며 여러 직책을 역임했지만, 보신 전쟁을 거치면서 신정부군과 구 막부군 사이에서 줄타기를 했다. 이 과정에서 한때 지위를 잃기도 했으나, 메이지 시대에 복권되어 자작 작위를 받는 등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1875년 7월, 다다요시가 공직에서 은퇴하자 다다노리는 오쿠보 가문의 지도자로 복귀했다. 1884년 화족령이 시행되면서 자작이 되었다. 1897년 8월 10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묘는 도쿄 세타가야의 사쇼지 가문 사찰에 있다.

다다노리의 관직 및 작위 이력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860년(만엔(萬延) 원년) 12월 16일종5위하(従五位下) 가가노카미(加賀守)[1]
1866년(게이오(慶応) 2년) 1월 15일종4위하(従四位下)[1]
1868년(메이지(明治) 원년) 6월 4일위계관직 박탈[1]
1884년(메이지(明治) 17년) 7월 8일자작[1]


2. 1. 초기 생애

오쿠보 다다노리는 1841년 12월 2일, 사누키 국 다카마쓰 번주 마쓰다이라 요리요시(도쿠가와 요시아키의 형)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大久保忠礼|오쿠보 다다노리일본어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조카였으며,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사촌이었다. 1859년, 오다와라 번 8대 번주 오쿠보 다다요시가 사망하자 그의 양자가 되어 가독을 계승, 오쿠보 가문의 11대 당주이자 오다와라 번의 다이묘가 되었다.

1863년 11월 소자반(의장)에 임명되었고, 1864년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교토 방문에 동행했다. 1867년 9월부터 12월까지 가이 국의 고후 조다이를 역임했다.

1868년 보신 전쟁에서 사쓰마-조슈 동맹의 신정부군에게 하코네 관문을 열어주었지만, 하야시 다다타카 등 구 막부군 세력에게 협력하기도 했다. 그러나 에도에 있던 번사 나카가키 겐사이(나카가키 사이구)의 설득으로 신정부군에 다시 협력했다. 전쟁 후, 이 일로 1868년 9월 칩거, 영지 몰수, 관직 박탈 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 12월 4일, 양자(오쿠보 노리아키의 아들) 오쿠보 다다요시(忠良)에게 다시 오다와라 7만 5천 석이 주어져 가문이 존속되었다.

2. 2. 막부 관료 경력

오쿠보 다다노리는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조카이자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사촌이었다. 1859년 오다와라 번의 전 다이묘 오쿠보 다다나오가 사망하자 오쿠보 가문에 입양되어 11대 당주이자 오다와라 번의 다이묘가 되었다.

그는 도쿠가와 막부의 행정부에서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 분큐 3년(1863년) 11월, 소샤반(奏者番, 의장)에 임명되었다.[1]
  • 겐지 원년(1864년)에는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의 교토 방문에 동행했다.[2]
  • 게이오 3년(1867년) 9월부터 게이오 4년(1868년) 12월까지 잠시 카이 국의 고후 조다이(甲府城代)에 임명되기도 했다.

2. 3. 보신 전쟁

메이지 유신 시기 보신 전쟁에서 오쿠보 다다노리는 사쓰마 번-조슈 번 동맹(삿초 동맹)의 신정부군이 하코네 고개를 넘는 것을 막지 않았다. 그러나 1868년 5월 하야시 다다타카 등 친도쿠가와 막부 세력을 만나 지지 의사를 밝혔다. 우에노 전투에서 에도가 함락되자 다시 입장을 바꾸어 에도에서 삿초 동맹 지도자들에게 자신의 입장을 해명했다. 신정부에 대한 반역자로 여겨져 은퇴를 명령받았고, 오다와라 번의 분가인 오기노-야마나카 번의 다이묘 오쿠보 다다요시(II)에게 작위가 넘어갔다.

게이오 4년(1868년) 보신 전쟁에서 처음에는 신정부군에 순응하여 하코네 관문을 열었지만, 5월에 하야시 다다타카와 이니와 하치로 등 구 막부군이 공격해 신정부군이 일시적으로 불리해지자 구 막부 측에 협력했다. 그러나 에도에 있던 번사(藩士) 나카가키 겐사이(나카가키 사이구)의 설득으로 혼겐지에 謹慎(금신)하며 다시 신정부군에 따랐다. 전쟁 후 배신 행위가 문제시되어 메이지 원년(1868년) 9월, 칩거와 함께 영지 몰수, 관직 박탈 처분을 받았다.

2. 4. 메이지 시대

게이오 4년(1868년)부터 시작된 보신 전쟁에서는 관군에 순응하여 하코네의 관문을 열어주었지만, 1868년 5월에 하야시 다다타카와 이니와 하치로 등 구 막부군의 공격으로 관군 측이 일시적으로 불리해지자 구 막부 측에 협력했다. 그러나 에도에 있던 번사(藩士) 나카가키 겐사이(나카가키 사이구)의 설득을 받아 스스로 혼겐지에 근신(謹慎)하여 다시 관군에 순응했다.[1]

전쟁 후 배신한 것을 문제 삼아 메이지 원년(1868년) 9월, 칩거와 함께 성지 몰수, 관위 박탈 처분을 받았다. 같은 해 12월 4일, 양자(오쿠보 노리아키의 아들) 오쿠보 다다요시(忠良)에게 다시 오다와라 7만 5천 석이 주어져 가문의 존속이 허락되었다.[1]

다다노리는 후에 죄를 용서받고 메이지 8년(1875년) 7월, 다다요시로부터 가독을 양도받아 다시 당주가 되었다. 메이지 17년(1884년)의 화족령 시행으로 자작이 되었다. 메이지 30년(1897년) 8월 10일에 사망했다. 향년 57세. 장남 오쿠보 다다마사(忠一)가 작위와 가독을 상속했다.[1]

메이지 시대의 관직, 작위 이력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868년(메이지(明治) 원년) 6월 4일위계관직 박탈[1]
1884년(메이지(明治) 17년) 7월 8일자작[1]


3. 작위


  • 1860년(만엔 원년) 12월 16일: 종오위하(従五位下) 가가노카미(加賀守)에 임명됨.[1]
  • 1866년(게이오 2년) 1월 15일: 종사위하(従四位下)로 승진.[1]
  • 1868년(메이지 원년) 6월 4일: 위계와 관직 박탈.[1]
  • 1884년(메이지 17년) 7월 8일: 자작(子爵) 작위 수여.[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친부마쓰다이라 요리요시
양부오쿠보 다다요시
첫째 부인幸 - 오쿠보 노리요시의 딸
둘째 부인이시카와 소카의 딸
셋째 부인幸 - 무쓰 시라카와 번주 아베 마사스미의 딸 (이후 아베 마사시즈의 계실, 쿄고쿠 타카노리의 정실, 오쿠보 다다요시의 계실)
장남오쿠보 다다카즈
양자오쿠보 다다요시 - 오쿠보 노리요시의 장남


참조

[1] 간행물 官報 1884-07-09
[2] 문서 오기노 야마나카 번 주 오쿠보 노리요시의 장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